세월호 제주해군기지 철근 400톤 의혹 정리

세월호가 침몰 당시 제주 해군기지 공사에 쓰일 수백 톤의 철근을 운송하고 있었던 사실이 드러났다.

세월호는 여객선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여객과 화물을 동시에 운반하는 화객선으로 주수입원은 화물운송이었다. 인천과 제주를 오가며 육지로는 제주 삼다수를, 제주로는 주로 건축 자재를 운송했다.

세월호는 사고 당시 제주로 가는 길이었기 때문에 건축자재를 싣고 있었다. 하지만 과적으로 배가 기울자 철근과 H빔이 제일 먼저 쏟아지면서 복원성을 악화시켰고 결국 전복됐다.

검·경합동수사본부는 세월호에 철근 286톤과 H빔 37톤이 실려 있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철근 410톤, H빔 52톤으로 139톤이 더 많았으며 특히 철근 중 278톤은 제주해군기지로 운반될 예정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 당시 탑승했던 항해사에 따르면 평소보다 60% 많은 철근과 H빔을 실었다고 한다.

기울어진 세월호(출처: 오마이뉴스·해경)

철근 전부가 제주해군기지용이라는 주장도 제기됐다. 세월호 공동 소유주였던 청해진해운의 한 관계자는 '사고 당일에 실은 철근은 모두 해군기지로 가는 것이었다'고 진술했다.

그 동안 정부는 '인천에서 제주해군기지로 운반되는 철근은 없다'고 주장해 왔다. 요렇게 정부가 구라를 치면 말이여. 무신 이유가 있는 거여, 이유가.

세월호 선원들은 사고 전부터 철근 과적으로 인한 위험을 여러 차례 지적했지만 청해진해운은 이를 무시해 왔다.

특히 사고 전날 밤은 선원들이 출항을 꺼렸을 만큼 기상 상태도 좋지 않았으나 세월호는 1228톤을 과적한 채 출항을 강행했다. 화물 중 최대 18%가 제주해군기지 공사에 사용될 철근이었다.

그게 뭐 어쨌냐고? 세월호와 제주해군기지 모두 국정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전복한 세월호(출처: 연합뉴스)

2009년 국정원 관계자가 국정원, 해군, 제주자치도 등이 참석한 회의에서 측면 지원을 언급한 바 있고 2012년에는 국정원이 <제주해군기지저지전국대책회의> 공동집행위원장을 국가보안법(...) 위반 혐의로 압수수색했다.

세월호는 실소유주가 국정원이라는 의혹이 제기된 상태다.

첫째, 세월호는 1000톤급 이상 선박 중 유일하게 유사시 국정원에 보고되는 국가보호선박이다.

둘째, 청해진해운은 국정원의 요청으로 부두에 CCTV를 설치했는데 다른 국가보호선박과 달리 자비로 부담했다.

셋째, 세월호 취항식에 국정원 직원이 초청됐고 운항 초기에는 직접 탑승도 했다.

넷째, 세월호에서 발견된 업무용 노트북에 국정원 지적사항이라는 문건이 저장돼 있었다.

해당 문건은 직원 휴가계획서 제출, 작업수당 보고, 자판기 설치, 침대 교체, 분리수거함 위치 선정, 전등 수리, 도색, 샤워실 누수 용접, 바닥 타일 교체 등 세월호 운영에 관한 지시사항을 담고 있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제주해군기지 공사 일정을 맞추기 위해 무리하게 출항을 강행하다가 사고가 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새누리당 김용태 의원도 '혹시라도 과적을 위해 평형수를 빼내는 과정에서 철근을 넣은 게 문제가 됐다면 정말 큰일'이라며 '철두철미한 진상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출당될 수도

세월호는 사고 당시 짐을 더 싣기 위해 평형수(배의 무게 중심을 잡아 주는 물)를 안전 기준의 3분의 1만 채운 상태였다.

하지만 이 떡밥은 이대로 묻힐 공산이 크다. 조사를 맡고 있는 <세월호 참사 특별조사위원회>의 활동이 6월 말 종료되기 때문이다.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