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당 리베이트 정리 1: '허니버터칩' 브랜드호텔 김수민 대표

4.13 총선을 3주 앞둔 2016년 3월 22일, 국민의당이 당 로고를 변경한다.

새 로고는 디자인회사인 브랜드호텔이 제작했다. 브랜드호텔은 2009년 숙명여대 디자인 동아리에서 출발해 2012년 법인으로 전환한 대학벤처기업으로 숙명여대 창업보육센터에 사무실이 있다.

초기에는 창립멤버들의 지도교수이자 제일기획 아트디렉터 출신 김기영 교수가 따온 산학협력 프로젝트로 먹고 살았지만 허니버터칩과 이마트 노브랜드의 포장지 디자인을 맡으며 유명세를 탔다.

그런데, 국민의당은 로고를 만든지 두 달도 안 된데다 후보들이 기존 로고가 새겨진 명함과 선거용 점퍼로 선거운동 중이었다. 이 때문에 후보들은 명함과 점퍼를 새로 제작해야 했다(...).

브랜드호텔은 김기영 교수와 가까운 국민의당 김영환 인재영입위원장의 추천으로 로고송, 슬로건 제작 등 국민의당 홍보 전반을 맡게 됐다.

브랜드호텔 김수민 공동대표가 선거대책위원회 홍보위원장에 임명됐고 국민의당 왕주현 총괄본부장은 김수민 공동대표, 김기영 교수, 카피라이터 김 모 씨로 선거 홍보 TF(태스크포스)팀을 만들었다.

김수민 청년대표(출처: 국민의당)

다음날, 국민의당은 김수민 홍보위원장을 청년대표로 비례대표 후보 7번에 밀실 깜짝 공천한다. 당시 국민의당은 비례 6번까지 당선 안정권, 8번까지는 당선 가능권이란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그녀는 공천을 신청한 적도, 공천심사를 받은 적도 없기 때문에 당규 위반이다. 공교롭게도 왕주현 총괄본부장이 비례대표후보추천위원이었다.

김수민 후보의 아버지인 김현배 도시개발 대표는 새누리당(...) 충북도당 부위원장으로 14대 국회에서 민자당(현 새누리당) 비례대표를 지낸 바 있다.

총선에서 국민의당은 녹색돌풍을 일으켰고 1986년생(29세)인 김수민 후보는 20대 국회 최연소 의원에 사상 최연소 비례대표가 됐다.

하지만 총선 직후, 국민의당 내부에서 선거홍보업체 입찰에 대한 불만이 제기됐다.

비컴(출처: JTBC)

국민의당은 브랜드호텔의 소개로 TV광고 대행사인 <세미콜론>과 11억 2000만 원의 광고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이 대행사 없이 직접 광고를 한 것과 대조적이다.

국민의당은 비례대표 공보물 인쇄를 위해 견적서조차 내지 않은 <비컴>과 계약했다. 비컴은 공동사무실에서 알바생을 나눠 쓰는 1인 업체지만 대표가 왕주현 사무부총장의 친구다. ^오^

하지만 국민의당 지도부는 해당 행위라며 불만 세력 색출에 나섰다(...). 결국 선관위가 불만 세력의 제보를 받고 조사에 착수했는데 이상한 점이 발견된다.

국민의당 홍보를 총괄한 브랜드호텔이 세미콜론과 비컴에게 오히려 하청을 받은 것이다. 갑이 을에게 하청을 받는 괴랄한 상황이다.

브랜드호텔은 왕주현 사무부총장의 지시로 비컴과 하청계약을 맺었으며 비컴이 국민의당으로부터 계약금 2억 원을 받자마자 1억 1000만 원을 브랜드호텔에 입금한 사실이 드러났다.

왕주현 사무부총장(출처: 노컷뉴스)

총선 후, 김수민 의원이 세미콜론 대표에게 '1억 원을 주셔야 한다'는 문자를 보내자 5월 3일, 세미콜론은 6820만 원을 브랜드호텔에 입금했다.

한도액이 6000만 원인 법인 체크카드도 카피라이터 김 씨에게 줬지만 선관위 조사가 시작되자 잽싸게 돌려줬다. 브랜드호텔로 입금된 돈은 회사 운영비로 사용됐을 뿐, 국민의당으로 전달된 정황은 발견되지 않았다.

선관위는 세미콜론과 비컴에 브랜드호텔과 맺은 계약서를 요구했으나 세금계산서만 있지 계약서는 없었다(...).

왕주현 사무부총장은 '당과 상관 없는 일로 하라'고 지시했고 세미콜론 대표가 '마침 맥주 광고를 진행 중이니 이걸로 계약서를 쓸까요?'라는 문자를 보내자 그는 '굿굿(...)'이라고 답장했다고 한다.

세미콜론은 브랜드호텔이 맥주 홍보를 기획해 준 것처럼 허위 계약서를 작성해 선관위에 제출했다. 근데 들켰다(...). 굿굿

다음 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