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 19살 사망, 은성PSD

김 모(19) 군은 고등학교 3학년이던 2015년 10월, 지하철역 스크린도어(안전문) 유지보수 업체인 은성PSD에 입사했다.

월급 140만 원에 과도한 업무량으로 밥도 굶기 일쑤였지만 관련 업무가 2016년 8월 서울메트로 자회사로 이관된다는 소식에 '공기업 정규직이 될 수도 있다'는 희망으로 버텼다.

생일을 하루 앞둔 2016년 5월 28일, 김 군은 동생에게 용돈을 주고 출근 길에 나섰다. 오후 6시경, 그는 2호선 구의역 9-4번 승강장에 있는 고장난 스크린도어를 열고 선로 쪽으로 들어가 홀로 정비를 시작했다.

하지만 2분 뒤, 그는 승강장에 들어오는 열차와 스크린도어 사이에 끼여 사망했다. 서울메트로가 승강장 안에서만 정비 작업을 하는 걸로 파악해 열차 운행을 중지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기관사가 스크린도어 고장 사실을 신고하면 정비업체만 연락을 받고 해당 역은 통보를 받지 못 하는 체계라 당시 구의역에 있었던 3명의 역무원들은 스크린도어가 고장난 것조차 몰랐다.

추모 쪽지들을 수거 중인 역무원들(출처: 오마이뉴스)

정비업체는 수리 전, 역무실에 보고하고 2인1조로 작업해야 한다. 하지만 구의역 직원들은 어떤 작업을 하는지 확인하지도 않고 김 군에게 스크린도어 열쇠를 건넸고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지 감시하지도 않았다.

한 은성PSD 직원은 '혼자서 작업하기에도 인력이 부족하다'고 전했고 다른 업체 관계자도 '보고를 하면 작업을 허가해 주지 않아 보고를 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고 증언했다.

일부 시민들은 사고가 발생한 승강장의 스크린도어 앞에 국화를 놓고 김 군을 추모하는 포스트잇 10여장을 붙였다. 그러나 서울메트로 측이 안전사고 등을 이유로 수거해 대합실에 마련된 추모 공간으로 이전시켰다.

스크린도어 정비같은 위험한 작업을 19살 비정규직 청년이 혼자 하다 변을 당했는데 꽃 몇 송이와 종이 쪼가리 10장 치우는데 정규직 역무원 3명이 출동했다(...).

원상복구된 추모 쪽지를 보는 박원순 시장(출처: 오마이뉴스)

강남역 묻지마 살인 사건 추모 때와 비교해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주장도 있으나 강남역이 비정상이었고 이게 정상이다. 정거장 등 철도시설에 임의의 광고물을 부착하는 것은 불법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꽃과 쪽지들이 선로에 떨어질 경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도 있다.

하지만 박원순 서울시장이 구의역을 방문하겠다고 하자 떼어냈던 포스트잇을 열까지 맞춰 도로 붙여놨다. ^오^

정비업체 직원이 스크린도어와 열차 사이에 끼어 숨진 것은 이번이 세 번째다. 서울메트로는 '유사한 사고가 재발하지 않도록 자회사를 설립하겠다'고 밝혔지만 자회사 정비 직원 수는 그대로다. ^오^

은성PSD는 서울메트로가 직원들의 정년을 연장해 주기 위해 설립한 회사다.

2011년 말, 서울메트로는 '만 58세인 정년을 연장하기 위해 분사로의 재취업을 알선한다'는 노사합의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은성PSD 직원의 70% 이상을 정년 퇴직을 앞둔 서울메트로 간부들로 채운다.

김 군의 소지품(출처: 한겨레)

문제는 서울메트로 출신 직원들 대부분이 스크린도어 정비 경력이 없는 사무직이나 역무직으로 관련 지식이라곤 달랑 5일 교육받은 게 전부란 것이다. 실제로 2013년, 2호선 성수역에서 스크린도어를 정비하던 은성PSD 직원이 열차 사이에 끼여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다.

박원순 시장은 김 군을 조문하고 유족들에게 사과했다. 그는 '시민의 안전을 책임지는 서울시장으로서 서울시민께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면서 '사고의 원인에 대해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을 묻을 것'이라 밝혔다. 지난 3년간 똑같은 사고로 이미 2명이 죽었는데 아직까지 진상 규명 중이냐(...).

사고 당시 김군이 소지한 가방에는 공구, 필기도구, 육개장 사발면 한 개, 나무젓가락, 스테인리스 숟가락이 들어있었다.

왜 사회 부조리에 대한 댓가는 항상 힘 없는 사람들이 치뤄야 하는 걸까.

고인의 명복을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