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권 신공항 정리 1: 후보지 밀양 vs 가덕도

김해국제공항은 부산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76년 개항했다.

부산에 있는데 왜 김해공항이냐고? 개항 당시 부지가 경남 김해에 속해 있었지만 나중에 부산에 편입됐기 때문이다. 김포공항이 과거 김포에 속했다가 서울에 편입된 것처럼 말이다.

김해국제공항은 인천국제공항에 이어 국제선 이용객이 2번째로 많고 2015년에는 1051억 원의 흑자를 기록, 전국 지역 공항 중 2위를 차지할 정도로 수익도 좋다.

하지만 활주로 2개 중 1개를 공군이 사용하고 인근 주민들의 소음 피해로 오전 6시부터 밤 11시까지만 운영하기 때문에(...) 국제선은 대부분 근거리 노선이다. 원래는 오전 7시부터 밤 10시까지만 열었다(...). 김해마트

편의시설도 부족한데다 국제선은 포화 상태라 2시간씩 기다리는 건 기본이고 2023년에는 국내선마저 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정적으로 주위에 산이 있어 이착륙시 충돌할 위험성이 크다. 실제로 2002년 중국민항기가 착륙 직전 돗대산에 부딪쳐 129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발생했다.

김해국제공항(출처: 노컷뉴스)

이 때문에 1990년(!)부터 김해국제공항을 대체할 부산 신공항의 필요성이 대두됐고 2004년 부산시가 본격적으로 이를 추진한다. 하지만 대구, 경북 또한 '경상도 주요 도시로부터 접근성을 고려하지 않은 지역이기주의'라며 독자적으로 신공항 사업을 추진했다.

2005년, 부산 신공항 사업이 빠꾸를 먹자 부산은 대구, 경북, 경남, 울산과 손잡고 인천국제공항에 이은 제2의 허브공항(지역의 중심이 되는 공항)으로 영남권 신공항을 공동 추진한다.

2006년 노무현 대통령의 지시로 사업 검토가 시작됐고 2007년 대선에서 이명박 후보가 영남권 신공항 건설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부산은 신공항 후보지로 부산에서 가장 큰 섬인 가덕도를 원했다..

가덕도는 주위에 장애물과 주택가가 없어 충돌, 소음 걱정이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태풍에 취약하고 바다를 메워야 하기 때문에 지반 침하와 염분에 의한 부식 우려가 있다.

밀양과 가덕도 신공항 부지(출처: 연합뉴스)

반면, 대구, 경북, 울산, 경남은 가까운 경남 밀양시 하남읍의 산을 깎아 신공항을 건설하는 방안을 지지했다.

가덕도는 9조 8천억 원, 밀양은 10조 3천억 원의 천문학적인 공사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부산과 경남은 필사적이었다.

특히 대구는 대구국제공항이 있음에도 밀양 신공항에 가장 적극적이었다. 왜냐고? 대구공항 옆에는 공군기지 K-2가 있어 전투기 소음이 극심한데다 고도제한으로 개발을 할 수 없기 때문에 대구시는 K2를 경북 시골로 이전하고 싶어했다.

K2를 이전하려면 새로운 기지를 지어 주고 K2가 있던 터를 개발해 비용을 뽑아야 하는데 옆에 대구공항이 있으니 개발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대구와 가까운 밀양에 신공항이 생기면 대구공항을 폐쇄하고 K2를 이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밀양을 지지한 것이다.

평당 3~5만 원선이던 밀양 하남읍의 농지 가격은 투기꾼들이 몰리며 4년 만에 17만 원으로 뛰었다. ^오^

그러나 밀양은 주위에 산과 주택들이 김해공항보다 많아 충돌 위험이 높고 24시간 운영도 불가능하다. 허브공항의 필수 조건이 24시간 운영과 다양한 노선이기 때문에 허브공항도 될 수 없다.

2011년 밀양 신공항 건설 촉구 집회(출처: 뉴시스)

게다가 대구공항, 울산공항, 포항공항 모두 적자인 걸 보면 이들 지역의 수요도 미지수다.

문제는 신공항을 두고 경상도가 둘로 쪼개진 상황이라 어느 곳이 선정되더라도 거센 후폭풍이 예상됐다는 것이다. 신공항 탈락에 대한 반발로 영남인의 절반이 새누리당에 등을 돌리면 1년 후 다가올 2012년 총선에서 폭망할 위험이 컸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온 대안이 김해공항 확장이다. 하지만 24시간 운영을 위해서는 군 비행장을 이전해야 하는데 이전할 곳이 없고 활주로를 넓히려면 산을 깎는 비용만 25조 원 이상이라 2007년, 2009년 조사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바 있다.

결국 2011년 3월, 영남권 신공항 사업은 경제성이 없다는 이유로 백지화됐다 폭탄돌리기. 입지평가에서 100점 만점에 50점 이상을 받아야 하는데 밀양이 39.9점, 가덕도는 38.3점으로 부적합 판정을 받은 것이다. 하남읍 농지 가격도 5~7만 원으로 떨어졌다(...).

다음 편에 계속.